Kali Linux에서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자료, 사용법 등

Kali Linux는 보안 전문가나 해커들이 사용하는 침투 테스트(penetration testing) 및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. 수백 가지의 보안 도구가 사전 설치되어 있으며, 각 도구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.

🔧 Kali Linux 주요 도구 설명 및 사용법 요약
1. 정보 수집 (Information Gathering)
도구 설명 사용 예
nmap 네트워크 스캐닝 및 포트 스캐닝 도구 nmap -sS 192.168.1.1
whois 도메인 정보 확인 whois example.com
dnsenum DNS 정보 수집 dnsenum example.com
theHarvester 이메일/서브도메인 등 정보 수집 theHarvester -d example.com -b google

2. 취약점 분석 (Vulnerability Analysis)
도구 설명 사용 예
nikto 웹 서버 취약점 스캐너 nikto -h http://example.com
OpenVAS 종합적인 취약점 관리 시스템 웹 GUI 사용 (openvas-start)
lynis 시스템 보안 감사 도구 lynis audit system

3. 웹 애플리케이션 공격 (Web App Attacks)
도구 설명 사용 예
Burp Suite 웹 요청 분석 및 공격 프록시 GUI로 사용
OWASP ZAP 자동 웹 취약점 스캐너 zap 실행 후 웹 브라우저 통해 조작
sqlmap SQL Injection 자동화 도구 sqlmap -u “http://example.com?id=1” –dbs

4. 무선 공격 (Wireless Attacks)
도구 설명 사용 예
aircrack-ng 무선 암호 해킹 도구 모음 airmon-ng, airodump-ng, aircrack-ng
reaver WPS 취약점 이용한 WPA/WPA2 해킹 reaver -i wlan0mon -b [BSSID] -vv

5. 패스워드 공격 (Password Attacks)
도구 설명 사용 예
hydra 원격 서비스 브루트포싱 hydra -l admin -P pass.txt 192.168.1.1 ssh
john 패스워드 해시 크랙 john –wordlist=rockyou.txt hashfile.txt
hashcat GPU 기반 빠른 해시 크래커 hashcat -m 0 -a 0 hashes.txt wordlist.txt

6. 소셜 엔지니어링 (Social Engineering)
도구 설명 사용 예
SET (Social-Engineer Toolkit) 피싱 사이트, 악성 파일 생성 등 setoolkit 명령어로 GUI 메뉴 진입

7. Exploit 도구
도구 설명 사용 예
Metasploit Framework 종합 익스플로잇 플랫폼 msfconsole로 실행
searchsploit Exploit DB에서 취약점 코드 검색 searchsploit apache 2.4

8. 포렌식 (Forensics)
도구 설명 사용 예
Autopsy 디지털 포렌식 GUI 툴 GUI 실행 후 증거 이미지 분석
Volatility 메모리 포렌식 도구 volatility -f mem.dmp –profile=Win7SP1x64 pslist

9. 리버스 엔지니어링 (Reverse Engineering)
도구 설명 사용 예
Ghidra 바이너리 역공학 도구 ghidraRun으로 GUI 실행
radare2 터미널 기반 역공학 툴 r2 binary.exe
OllyDbg/Wine Windows용 디버거 (Wine에서 실행) wine OllyDbg.exe

📁 Kali Linux 도구 실행 방법
대부분의 도구는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.

GUI 기반 도구는 Kali 메뉴에서 실행하거나 kali-tools-* 패키지 설치 필요 시 다음과 같이 설치:

bash
복사
편집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kali-linux-top10
sudo apt install kali-tools-web

📘 Kali Linux 공식 문서 및 자료

Kali Tools Index:
🔗 https://tools.kali.org

Kali Linux 공식 문서:
🔗 https://www.kali.org/docs/

Exploit DB (취약점 검색):
🔗 https://www.exploit-db.com/

1060 6기가 와 rx570 4기가 성능 비교

GTX 1060 6GB와 RX 570 4GB는 비슷한 세대(2016~2017년 출시)의 그래픽카드이며, 중급 게이밍 그래픽카드로 많이 비교되는 모델입니다.

하지만 전반적인 성능과 효율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
🎯 1. 기본 사양 비교

항목 GTX 1060 6GB RX 570 4GB
아키텍처 Pascal (16nm) Polaris (14nm)
VRAM GDDR5 6GB GDDR5 4GB
쿠다코어/스트림프로세서 1280 CUDA 2048 Stream
TDP (전력소모) 120W 150W~180W
드라이버 최적화 매우 안정적 (엔비디아) 다소 불안정 (특히 구버전 윈도우)
출시가격 더 비쌈 더 저렴했음

📊 2. 실제 게임 성능 (FHD, 1080p 기준)

게임 GTX 1060 6GB (FPS) RX 570 4GB (FPS)
GTA V 80~90 70~80
PUBG 70~75 55~60
Fortnite 100+ 80~90
Shadow of the Tomb Raider 60 50
Apex Legends 90 70~75
Cyberpunk 2077 (Low) 45~50 35~40

➡ GTX 1060 6GB가 전반적으로 10~25% 정도 더 높은 성능을 보여줍니다.

🧠 3. 추가 차이점 요약

항목 GTX 1060 6GB RX 570 4GB
발열 더 낮음 (조용함) 발열 더 많고 팬 소음 큼
전력 효율 더 좋음 더 나쁨
VRAM 용량 6GB → 더 여유 있음 4GB → 최신 게임에서 부족함
드라이버 호환성 우수 (엔비디아) 간혹 충돌 있음 (특히 듀얼 GPU 시)
DLSS/엔비디아 기능 없음 (1060은 지원 안함) 없음

📌 결론

상황 추천
게임 성능 기준 ✅ GTX 1060 6GB 우세 (전반적으로 15~25% 향상)
발열/소음/전력 ✅ GTX 1060
가성비 중고라면 RX 570이 조금 더 쌈
VRAM 중요 (4K 텍스처, 모드 등) ✅ GTX 1060 (6GB)
드라이버 안정성, 궁합 ✅ GTX 1060 단독 사용 권장

📌 요약 한줄

👉 GTX 1060 6GB가 RX 570 4GB보다 전반적으로 더 나은 성능, 전력 효율, VRAM 여유를 제공합니다.

GTX 1660 슈퍼와 GTX 1060 6G 모델 극대화 방법

GTX 1660 Super와 GTX 1060 6GB는 **동일한 NVIDIA 아키텍처 계열(Pascal vs Turing)**로서, 같은 시스템에 함께 설치해도 충돌 없이 운용이 가능하고, 효율적으로 병렬 활용할 수 있습니다.
단, SLI는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, 두 GPU를 각기 다른 작업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극대화해야 합니다.

✅ 시스템에 1660 Super + 1060 6GB를 함께 설치했을 때 극대화 방법

🎯 1. 목적: 게임 성능 극대화

게임 전용 GPU로는 1660 Super 사용 → 이쪽이 성능이 더 뛰어납니다.

1060은 백그라운드 작업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출력용으로 활용

게임 내 그래픽 설정에서 GPU 선택 불가한 경우, 디스플레이를 1660 Super에 연결하세요.

🔧 설정 팁:

디스플레이 케이블(HDMI, DP)을 1660 Super에 연결

NVIDIA 제어판 → 기본 GPU 확인 및 설정

1060은 보조 작업에 활용 (예: YouTube 영상, OBS 인코딩, 가벼운 작업)

🧠 2. 목적: 멀티 GPU를 활용한 작업 (예: 인코딩, 머신러닝, 채굴)
GPU 1: 1660 Super → 메인 작업 (게임, 렌더링)

GPU 2: 1060 → 보조 작업 (인코딩, 채굴, 서브 렌더링)

예시:

OBS 인코딩: OBS에서 NVIDIA NVENC (GTX 1060) 선택해, 게임을 1660으로 돌리고 인코딩은 1060으로

채굴: 둘 다 동시에 가능하며, 프로그램에서 각각 GPU 선택 가능

Blender: Cycles 렌더링 시 두 GPU 병행 사용 가능

🔧 설정 팁:

OBS Studio → 고급 → 출력 → 인코더 GPU 선택

Blender → Edit → Preferences → System → CUDA 선택

🖥️ 3. 목적: 멀티 모니터 / 멀티태스킹

두 GPU 모두에 모니터 연결 가능

예:

1660 Super: 게임용 주 모니터

1060: 웹 브라우저, 스트리밍, 문서 등 부가 작업용

윈도우 설정 → 디스플레이 → 각 GPU에 연결된 화면 설정

🔧 4. 드라이버 및 전력 관리

드라이버: 두 GPU 모두 NVIDIA이므로 하나의 드라이버로 통합 관리 가능

전원: 500~600W 이상 파워서플라이 권장

발열 관리: 내부 공기 흐름 확보, 써멀 관리 중요

📊 참고: GTX 1660 Super vs GTX 1060 6GB 성능 차이
항목 GTX 1660 Super GTX 1060 6GB
쿠다코어 1408 1280
VRAM GDDR6 6GB GDDR5 6GB
대략 성능 20~30% ↑ 기준

성능이 1660 Super 쪽이 확실히 더 좋습니다. 게임/메인작업은 무조건 1660 Super에!

🔚 결론: 어떤 방식이든 가능

목적 사용 방식
게임 1660 Super로 전담, 1060은 보조
멀티 작업 각각 다른 작업에 병렬 활용
OBS/인코딩 게임은 1660, 인코딩은 1060
멀티 모니터 각각 GPU에 모니터 연결
드라이버 NVIDIA 통합 드라이버 OK

한 컴에 GTX 1660 Super 6GB (엔비디아 그래픽카드) RX 570 4GB (AMD 그래픽카드) 두개 설치 되어 있음

AMD Ryzen 5 5600 (6코어 12스레드 CPU)
GTX 1660 Super 6GB (엔비디아 그래픽카드)
RX 570 4GB (AMD 그래픽카드)
한 컴에 같이 설치 되어 있다. 극대화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?

✅ 목적별 극대화 방안

🎮 1. 게임 또는 GPU 렌더링 성능 극대화

하나의 GPU만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.

일반적으로 GTX 1660 Super가 RX 570보다 더 빠르므로, 게임이나 렌더링은 1660 Super에 집중합니다.

RX 570은 제거하거나 보조 용도로 설정하세요 (예: 스트리밍용 GPU 인코딩 등).

BIOS나 윈도우에서 부팅 GPU를 명확히 설정하고, 드라이버는 NVIDIA만 설치하세요.

👉 이 경우 RX 570을 제거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.

🧠 2. 멀티 GPU를 활용한 작업 (예: 채굴, 머신러닝, 병렬 처리)

Windows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GPU를 병렬로 활용하는 일이 어렵습니다.

그러나 특정 작업 (예: mining, 가벼운 병렬 연산, GPU passthrough) 용도로는 가능합니다.

각각 다른 작업에 할당:

GTX 1660 Super: 렌더링, 인코딩, 게임

RX 570: 채굴, 보조 인코딩, 서브모니터 출력

예: OBS Studio → GTX는 게임, RX는 인코딩 할당

🖥️ 3. 멀티 모니터 환경

두 GPU 모두에 모니터 연결 가능

윈도우 설정 → 디스플레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설정 가능

단, 성능은 GPU 간 드라이버 간섭 때문에 약간 손해를 볼 수 있음

🧰 4. 최적화 팁

NVIDIA 및 AMD 드라이버를 충돌 없이 설치

항상 NVIDIA → AMD 순서로 설치

DDU (Display Driver Uninstaller)로 이전 드라이버 제거

부팅 우선 GPU 설정 (BIOS) → 1660 Super

전력 및 발열 관리

두 GPU 모두 설치 시 전력 소모가 큼

파워서플라이가 600W 이상 권장

작업관리자 → GPU 사용량 확인

각 GPU가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 확인 가능

🔍 결론 (요약)
목적 권장 구성
게임 성능 GTX 1660 Super 단독 사용, RX 570 제거
멀티 작업 (채굴, 렌더링 등) GTX: 렌더링, RX: 채굴 또는 부가 작업
멀티 모니터 두 GPU에 각각 모니터 연결 가능
드라이버 관리 충돌 최소화 위해 DDU 사용 및 설치 순서 조심

컴퓨터 파워 자가 테스트 방법

컴퓨터 파워 서플라이(파워 PSU)의 자가 테스트는 고장이 의심될 때 아주 유용합니다.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페이퍼클립 테스트입니다. 다음은 일반 사용자가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가 테스트 방법입니다:

✅ 1. 페이퍼클립 테스트 (Paperclip Test)
파워서플라이가 최소한 켜지는지 확인하는 기본적인 테스트입니다.

⚠️ 주의사항:
테스트 전 반드시 컴퓨터에서 파워를 분리하세요.

12V 출력이 켜진다고 해서 정상 동작 보장은 아닙니다.

테스트는 전기적으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진행하세요.

📦 준비물:
금속 클립 또는 가는 철사 (예: 펜을 감는 클립)

파워 서플라이 단독

(옵션) 멀티미터 또는 파워 테스터기 (정밀 진단 시)

✅ 테스트 방법:
파워의 24핀 메인 커넥터를 확인

녹색선 (PS_ON)과 아무 검은선(GND)을 클립으로 연결

24핀 커넥터에서 녹색선 1개 + 검은선 여러 개 존재

이 두 핀을 금속 클립으로 연결하면 전원이 강제로 켜짐

파워를 전원에 연결하고 스위치 ON

팬이 돌면 파워 자체는 켜지는 것 (기본 이상 무)

✅ 2. 멀티미터로 전압 측정 (정밀 확인용)
전원 라인 정상 전압 범위
+3.3V 3.14 ~ 3.47V
+5V 4.75 ~ 5.25V
+12V 11.4 ~ 12.6V

24핀, 4핀, 6핀, SATA 커넥터 등에서 멀티미터로 직접 전압 확인 가능

너무 낮거나 높으면 불량 또는 불안정 출력

✅ 3. 파워 테스터기 사용 (추천)
2~3만 원대 간단한 파워테스터기로 빠르게 전압과 동작 상태 확인 가능

24핀/8핀/6핀/SATA 등 모두 연결 가능하며 전압 자동 표시됨

✅ 4. 실제 부하 테스트
하드디스크나 팬 등을 연결해 파워가 부하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

무부하에서는 이상 없어도, 부하 걸리면 꺼지는 경우 있음 → 교체 필요 신호

❌ 파워 고장 징후
전원 버튼 눌러도 아무 반응 없음

팬이 살짝 돌다 멈춤

재부팅 반복

이상한 타는 냄새, 찌릿한 소리

🔧 팁
PC가 안 켜질 때: 메인보드 불량보단 파워 불량일 확률이 더 높습니다.

오래된 파워는 전해 커패시터 노후로 전압 불안정 → 교체 추천